티스토리 뷰

반응형

 

 

목차

     

    서울 지하철 요금 인상

    서울 수도권 거주자들에게 청천벽력 같은 서울 지하철 요금 인상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2023년 10월 7일부터 확정 및 시행된 서울 지하철 요금 인상은 올해, 내년 하반기 두 번의 인상으로 단계별 인상 확정이 나긴 했습니다만, 매일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서민들의 부담이 더 커진 것은 사실입니다. 가파른 물가상승률로 인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겠지만 씁쓸한 마음은 감출 수가 없네요.

    서울 지하철 요금 확정

    서울 지하철 요금 인상 확정이 나고 과연 기존의 기본요금에서 얼마정도가 올랐을까 궁금하신 분들이 많을 겁니다. 서울 지하철 요금 인상 확정 시행일은 2023년 10월 7일이었습니다. 시민공청회를 2월에 진행, 서울시의회를 3월에 진행, 물가대책위원회 심의회를 7월에 차례로 진행함으로써 결정 난 사안입니다.

     

    2015년 이후로 8년 만에 서울 지하철 요금 인상 확정이 났습니다. 당초 기본요금 300원을 한번에 올리자는 의견도 있었습니다만 서민들의 부담이 클 것을 고려해 올해 10월에 150원, 내년 하반기에 150원으로 두 번 올리는 것을 감안하여 결정되었습니다.

     

     

     

    서울 지하철 기본 요금표

    전체적으로 서울 지하철 기본 요금표를 카드 결제 기준과 1구간 1회권 현금 결제 기준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일반 기본요금은 1,400원이고 청소년은 800원, 어린이는 500원으로 기존 서울 지하철 기본요금과 비교해 봤을 때 일반 기본요금은 150원이, 청소년은 80원이, 어린이는 50원이 인상되었습니다.

     

    1회권 현금 결제의 기준으로는 현행 1,350원에서 조정된 요금은 1,500원으로 인상폭이 무려 150원이 되었습니다. 카드보다 100원 비싼 금액으로 발매기 운영비를 고려하여 현금 기준 요금이 더 비싸게 책정된다는 점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서울 지하철 카드 기본요금

    구분(원) 카드 기준
    현행 조정 인상폭
    일    반 1,250원 1,400원 150원
    청소년 720원 800원 80원
    어린이 450원 500원 50원

    서울 지하철 현금 기본요금

    구분(원) 현금 기준
    (1구간 기본요금)
    현행 조정 인상폭
    일    반 1,350원 1,500원 150원
    청소년 1,350원 1,500원 150원
    어린이 450원 500원 50원

    서울 지하철 기본요금 인상

    서울 지하철 기본요금 인상 소식과 더불어 조조할인, 수도권 통합환승할인 등 세부적으로 이용하는 금액이 각각 달라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출퇴근 시 매일 애용하는 분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서울 지하철 정기권의 경우에는 한 달 기준 60회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 이용거리별로 20km마다 1회 차감이며 61,600원으로 6,600원 인상된 금액입니다.

     

    오전 6시 30분 이용하는 분들에게 적용되는 서울 지하철 조조할인의 경우에는 기존과 동일하게 20% 할인율이 적용된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지하철 하차 후 재승차 환승시간도 기존 10분 이내에서 15분 이내로 늘어났다는 점 기억해 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서울 지하철 조조할인 요금표

    구분(원) 조조할인
    (카드, 20% 할인)
    현행 조정 인상폭
    일    반 1,000원 1,120원 120원
    청소년 580원 640원 60원
    어린이 360원 400원 40원

     

    대중교통비 절약 방법

    지하철이나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분들을 위한 대중교통비 절약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다양한 절약 방법이 있겠지만 제가 애용하는 대중교통비 절약 방법을 말씀드릴까 합니다.

    1. 알뜰 교통카드 이용

    현재 진행되고 있는 알뜰 교통카드는 정부 및 지자체가 전국 마을 대상으로 마일리지 형태로 운영됩니다. 정부 및 지자체가 지원금 제공하고 있는 카드 회사는 이용자들에게 추가 할인을 해주는 제도로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분들이 알뜰 교통카드를 사용해서 지하철, 택시를 이용하면 기본 요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7월부터 월 60회까지 적립이 가능하게끔 확대되었기 때문에 적립액을 최대 월 66,000원까지 늘릴 수 있으니 알뜰 교통카드 이용해서 대중교통비 아끼기 도전해 보시길 바랍니다.

    2. 기후 동행카드 이용

    이번 12월이 지나고 다가오는 2024년 1월부터 시행될 기후 동행카드는 버스와 지하철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카드 제도입니다. 특징은 이용 횟수 제한이 없다는 점과 가격은 1개월권 기준으로 65,000원입니다. 기후 동행카드는 지하철과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이용이 잦거나 짧은 거리 이동이 많은 분들이 실천하면 좋은 대중교통비 절약 방법입니다.

    반응형